본문 바로가기

생활영어

꼭 알아야 할 영어 조동사 구분! must / have to / should 차이 완벽 정리

반응형

안녕하세요,  왕초보 올티댁입니다 :)

오늘은 영어 회화에서 아주, 자주 쓰이는 의무 표현 3가지 must / have to / should의 정확한 뜻과 차이, 원어민처럼 자연스럽게 쓰는 예문까지 정리해 볼게요. (함께 배워요!)

헷갈리는 표현들이지만, 상황별로 딱 맞게 쓸 줄 알면 영어 실력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됩니다!

must / have to / should 차이 이미지 사진
ChatGPT 생성 이미지


1. 반드시 해야 할 때: must

must는 규칙, 법, 강한 권고처럼 "꼭 해야만 하는 일"을 말할 때 사용해요. 말하는 사람이 직접 강한 의지를 담아 말할 때도 쓰입니다.

You must fasten your seat belt.
(유 머스트 패슨 유어 시트벨트)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하셔야 합니다.

All visitors must wear a name tag.
(모든 방문객은 이름표를 반드시 착용해야 합니다.)

📌 mustn't는 "절대 ~해서는 안 된다"는 금지의 뜻입니다.

You mustn't smoke here.
(여기서 담배 피우면 안 됩니다!)


2. 어쩔 수 없이 해야 할 때: have to

have to는 규칙, 일정, 일처럼 원하진 않아도 해야만 하는 일에 대해 말할 때 써요. 자신의 감정보다 외부 상황 때문에 해야 할 때 자주 쓰입니다.

I have to go to work even on Saturday.
(아이 해브 투 고 투 워크 이븐 온 새터데이)
토요일에도 출근해야 해요.

I have to do the laundry tonight.
(오늘 밤엔 빨래를 꼭 해야 해요.)

Do we have to take this test?
(우리 이 시험 꼭 봐야 해?)

📌 부정형은 don't have to, 꼭 안 해도 될 때 씁니다.

You don't have to come if you're busy.
(바쁘면 굳이 안 와도 돼요.)


3. 하면 좋은데 안 해도 되는: should

should는 의무이긴 한데, 강제는 아니고 권장하는 표현이에요. 조언, 충고, 또는 예의 있는 제안할 때 자주 쓰이죠.

You should sleep early tonight.
(유 슈드 슬립 얼리 투나잇)
오늘은 일찍 자는 게 좋겠어.

You should try this restaurant.
(이 식당 꼭 가봐. 맛있어!)

Should I call her now?
(지금 그녀에게 전화할까?)

 


[ 핵심 정리 ]

상황 표현 의미
꼭 지켜야 하는 법/규정 must 반드시 해야 함 (내 의지, 법적 의무 등)
원하진 않지만 해야 함 have to 외부 상황에 따라 어쩔 수 없이 해야 함
하면 좋지만 강제는 아님 should 조언, 권유, 추천

 


비슷한 표현도 알아두면 좋아요!

  • ought to → should와 거의 같은 의미. (You ought to be more careful.)
  • need to → 필요해서 해야 할 때. (I need to finish this today.)

마무리 

이렇게 must / have to / should의 차이를 정확히 알면, 상황에 맞는 표현으로 더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어요.

오늘 배운 표현은 꼭 음성으로 따라 말해보며 익혀보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