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리핀 생활정보

한국 vs 필리핀 인건비 & 생활비 비교

반응형

평균 급여, 최저임금, 생활비까지 현실감 있게 알려드려요.

안녕하세요, 올티댁이에요 :)
요즘 티브이 보다가 “필리핀은 물가가 싸다던데?” 혹은
“인건비가 저렴하니까 사람 쓰기 쉽다” 이런 얘기 자주 들으시죠?

그런데! 단순히 ‘싸다’라는 말로는 필리핀의 노동 환경이나 급여 수준을 정확히 이해하기 어려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현재, 한국과 필리핀의 인건비와 생활비가 실제로 얼마나 차이 나는지,
그리고 왜 그런 차이가 생기는지까지 친절하게 풀어드릴게요.

하지만..

팬데믹 이후, 필리핀도 물가가 많이 올랐어요

예전엔 ‘동남아=물가 싸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코로나 팬데믹 이후로 필리핀도 물가가 눈에 띄게 상승했어요.
특히 수입 의존도가 높은 나라인 만큼, 달러 환율이 오를수록 대부분의 수입제품 가격도 함께 오르기 때문에 현지에서도 생활비 부담이 커지고 있어요.

2020년 대비 2024년 기준으로 보면, 식료품·생필품·외식비는 평균 20~40% 이상 인상되었고,
중산층 이상의 소비 패턴을 유지하려면 체감 물가는 한국과 비슷하거나 더 비싸다고 느껴질 때도 많아요.

ROBINSONS GALLERIA 내부 사진
ROBINSONS GALLERIA


1. 1인당 ‘기본 생활비’는 얼마일까?

구분 한국 (서울) 필리핀 (마닐라)
월 평균 약 ₩1,500,000 약 ₱26,600 (₩640,000)
생활비
구성
월세,식비,
교통비,통신비 등
월세,식비,
전기+인터넷 포함

{ 왜 차이가 날까? }
필리핀은 기본적으로 물가가 한국보다 낮아요.
예를 들어, 마닐라에서 현지 식당에서 밥 한 끼는 ₱120(약 ₩2,900) 정도면 충분하지만,
한국은 편의점 도시락도 ₩5,000을 훌쩍 넘죠.

또한, 공공요금(전기, 수도, 인터넷) 역시 필리핀은 '적게 쓰면 적게 나오는 구조'라
한 달 생활비가 상대적으로 적게 들 수 있어요.


2. 평균 급여는 얼마나 받을까?


구분 한국  필리핀 
월 평균 급여 약 ₩3,800,000 ₱44,800
(약 ₩1,075,000)
연봉 기준 약 ₩45,600,000 ₱539,000
(약 ₩12,900,000)
 

{ 왜 이렇게 큰 차이가 나요? }
근본적으로는 경제 규모와 산업 구조 차이 때문이에요.
한국은 대기업·수출 중심의 산업이 많고, 고학력자 비율도 높아서 평균 급여가 높게 책정돼요.
반면 필리핀은 BPO(콜센터), 제조, 서비스업 비중이 높고, 노동력이 풍부한 대신 숙련도는 낮은 편이에요.

하지만!
최근 필리핀도 IT, 금융, 데이터 관련 전문직이 늘면서 평균 연봉이 조금씩 올라가고 있어요.
특히 외국계 회사에서는 필리핀 인력에 더 높은 급여를 주는 경향이 있어요.


3. 직종에 따라 차이 더 큼! (예시로 볼게요)

필리핀 주요 직종 급여 (월급 기준)

  • IT 개발자: ₱60,000 ~ ₱237,000 (₩1.4M ~ ₩5.7M)
  • 회계사 (CPA): ₱72,000 ~ ₱115,000 (₩1.7M ~ ₩2.7M)
  • 디지털 마케터: ₱55,000 ~ ₱154,000
  • 콜센터 직원 (BPO): ₱20,000 ~ ₱45,000

{ 왜 IT나 금융직은 더 많이 받을까? }
이런 직업은 글로벌 기업이 직접 채용하는 경우가 많고, 영어 실력이 필수예요.
즉, “언어 + 기술”을 갖춘 사람에게는 그만큼 더 많은 급여가 돌아가요.
그래서 필리핀도 점점 ‘전문직 고소득화’가 진행 중이에요.


4. 최저임금은 얼마나 받을까?


지역 일급 (₱) 시급 (₱) 원화 환산
NCR (마닐라) ₱645 약 ₱80 ₩1,900/h
지방 (예: Davao) ₱420~₱520 ₱50~₱65 ₩1,200~₩1,600/h
한국 (2025년 기준) ₩9,860
 

{ 왜 지역별로 다른가요? }
필리핀은 지역 경제력 차이가 매우 커요.
예를 들어 마닐라는 외국 기업, 학교, 병원이 몰려있고 임대료도 높기 때문에
최저임금이 더 높게 설정돼요.
지방은 물가도 낮고 일자리도 적어서 상대적으로 낮은 금액이 책정돼요.


5. 필리핀 채용 시장의 특징은?

“왜 기업들이 필리핀 인력을 선호할까?”

  1. 영어 실력: 세계에서 손꼽히는 영어 사용 국가!
  2. 합리적인 인건비: 미국의 1/5 수준!
  3. 재택근무 가능 + 유연한 노동시간
  4. 젊은 인구 비중 높음 (평균 연령 24세)
  5. 충성도 높은 근속 문화

실제로 미국, 호주, 일본 기업들도 콜센터·온라인 마케팅 직무를 필리핀에서 아웃소싱 중이에요.
저렴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의 영어+컴퓨터 사용 능력이 있어 비즈니스에 최적화돼 있거든요.


[한눈에 정리]

항목 한국 필리핀
월 생활비 (1인) ₩1,500,000 ₱26,600 (₩640,000)
평균 급여 ₩3,800,000 ₱44,800 (₩1,075,000)
최저 시급 ₩9,860 ₱80 (₩1,900)
고소득 직종 전문직, 공무원 IT, CPA, 콜센터 관리자
채용 특징 고임금·복잡한 규제 인건비 낮고 고효율 구조
 

필리핀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직업은?

선호 직업 이유
간호사
(Nurse)
해외 취업 기회가 많고,
가족의 자랑으로 여겨짐
콜센터 직원
(BPO Agent)
영어만 잘하면 고졸도
채용 가능 + 외국계 기업
공무원
(Government Employee)
안정성, 연금제도, 퇴직 보장
선생님/교사
(Teacher)
지역사회 내 존경 +
국가 채용 비율 높음
 

실제로 월급 많이 받는 고소득 직종은?

고소득 직업평균 월급
고소득 직업 평균 월급
외국계 IT 개발자 ₱70,000~₱120,000 (약 168~288만 원)
항공사 기장/부기장 ₱100,000 이상 (약 240만 원 이상)
해외파 간호사 (해외 송금) 평균 송금액 월 ₱50,000~₱100,000
전문직 회계사/변호사 ₱60,000 이상
 

 참고: 선호 직업과 고소득 직업이 항상 일치하지 않아요.
예를 들어, 간호사는 인기 있지만 국내에서는 월급이 낮고 해외 취업해야 높은 소득이 가능하죠.


필리핀의 가족 구성 & '가장(GAJANG)'은 누구?

필리핀은 전통적으로 대가족 중심 사회예요. 3세대 이상이 함께 사는 집도 흔하고, 특히 외가 중심인 경우도 많습니다.

<가족 구성의 특징>

  • 대가족이 많음 (부모 + 조부모 + 아이 + 고모/삼촌 등)
  • 부모가 해외에서 돈을 벌고, 아이들은 조부모가 양육
  • 집 안에 '야야(도우미)'가 있는 경우도 많음 (중산층 이상)

<집안의 '가장' 역할은?>

  • 꼭 '아버지'만이 아닌, 가장 많이 버는 사람이 가장 역할을 합니다.
  • 해외에서 송금하는 OFW(Overseas Filipino Worker) 자녀가 가장 역할을 하는 경우도 많아요.

 즉, 경제력을 가진 사람이 가장 = 나이/성별과 상관없이 실질적인 가족 리더 역할!

 

단순히 ‘필리핀 인건비가 싸다’는 말로는 다 설명이 안 되죠.
인건비가 낮은 이유, 그리고 생활비가 그만큼 낮기 때문에 가능한 구조
또한 최근에는 전문직 위주의 고소득화 경향까지 보이고 있다는 점,
이 모든 걸 함께 고려해야 정확한 비교가 돼요.

한국에선 1인 노동자로 살아가기 힘들지만,
필리핀은 적은 돈으로도 삶의 기본을 유지할 수 있고
외국계 회사에서 일하면 좋은 연봉도 가능하다는 점!

모든 건 ‘어떤 위치에서, 어떤 일을 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답니다 :)

<출처>
*필리핀 노동부 DOLE (Department of Labor and Employment)
*Jobstreet Philippines 급여 통계 2024
*Numbeo 생활비 통계
*필리핀 통계청 PSA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실제 구인공고 (Jobstreet, Indeed 등)

반응형